[헬스앤라이프] 커피, 25년만에 발암물질서 제외

반응형


-국제암연구소(IARC),  커피, 차(茶) 발암성 재평가

-뜨거운 커피, 차는 식도암 유발 가능성 높여


[헬스앤라이프=윤혜진기자] 커피가 발암성을 분류할 수 없는 3군 물질로 등급이 하향 조정됐다. 반면 뜨거운 음료는 암을 유발할 개연성이 높은 2A군으로 분류됐다. 즉, 커피 자체는 암을 유발하지 않지만, 뜨거운 커피나 차와 같은 음료를 마시는 것은 암을 유발할 가능성을 높인다는 결론이 난 셈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15일 란셋 종양학지(The Lancet Oncology)에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기존에 알려진 내용을 25년만에 뒤엎는 연구결과다.

 

국제암연구소는 1991년 커피, 차, 마테, 메틸잔틴(Methylxanthines)과 메틸글리옥살(Methylglyoxal)에 대한 논문에서 커피를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2B군 물질로, 차와 마테차는 발암성을 분류할 수 없는 3군 물질로 분류했었다. 또 마테차는 뜨겁게 마시는 경우 암을 유발할 개연성이 높은 2A군으로 분류했다. 차에 대한 발암성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었다.

 

커피의 발암등급을 재평가한 이번 연구는 1천여 편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진행했다. 커피 섭취는 췌장암, 유방암, 전립선암에 대해 발암효과가 없고, 간암과 자궁내막암에 대해서는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많은 역학연구 결과가 있으며, 그 밖에 20여 종의 암에 대해서는 근거가 불충분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뜨거운 음료가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개연성이 높다는 결론은 아주 뜨거운 음료의 섭취(65℃ 이상)가 식도암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사람 대상 역학연구 결과와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뜨겁지 않은 차에 대한 발암성 분류는 기존의 3군으로 유지된다.

국제암연구소는 체외 실험, 동물 실험과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역학적 연구에 근거하여 발암성을 평가하며, 발암요인을 5개 군(1군, 2A군, 2B군, 3군, 4군) 으로 분류하고 있다. 숫자가 작을수록 발암 위험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군은 인간에게 암을 유발하는 것이 확실함(Carcinogenic to humans), 2A군은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개연성이 높음(Probably carcinogenic to humans), 2B군은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 3군은 인간에 대한 발암성을 분류할 수 없음(Not classifiable as to its carcinogenicity to humans), 4군은 인간에게 암을 유발하지 않을 개연성이 높음(Probably not carcinogenic to humans)을 뜻한다.

 

이종목 국립암센터 식도암 전문의는 뜨거운 음료를 마시는 경우, 열에 의해 구강, 인두, 후두 및 식도에 손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손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암이 유발될 수 있다고 말했다.

윤혜진기자 news1@compa.kr

 

 


 

<저작권자 © 헬스앤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반응형

댓글